기록
[코틀린/Kotlin] 문자열을 다루는 법 본문
반응형
String 클래스와 관련한 여러 속성과 함수가 있다. 그 중 자주 쓰이는 것들을 알아보자.
fun main() {
val test1 = "Test.Kotlin.String"
println(test1.length)
println(test1.toLowerCase())
println(test1.toUpperCase())
//특정 문자열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여러개로 나눠 배열에 담는다.
val test2 = test1.split(".")
println(test2)
//문자열이 들어가 있는 배열을 다시 하나의 문자열로 합친다.
println(test2.joinToString())
println(test2.joinToString("-"))
print(test1.substring(5..10))
}
fun main() {
val nullString: String? = null
val emptyString = ""
val blankString = " "
val normalString = "A"
println(nullString.isNullOrEmpty())
println(emptyString.isNullOrEmpty())
println(blankString.isNullOrEmpty())
println(normalString.isNullOrEmpty())
println()
println(nullString.isNullOrBlank())
println(emptyString.isNullOrBlank())
println(blankString.isNullOrBlank())
println(normalString.isNullOrBlank())
}
fun main() {
var test3 = "kotlin.kt"
var test4 = "java.java"
//지정한 문자열로 시작하면 true를 반환
println(test3.startsWith("java"))
println(test4.startsWith("java"))
//지정한 문자열로 끝나면 true를 반환
println(test3.endsWith(".kt"))
println(test4.endsWith(".kt"))
//지정한 문자열이 포함되면 true를 반환
println(test3.contains("lin"))
println(test4.contains("lin"))
}
입력값을 받거나 문자열로 된 자료를 처리할 때 매우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니 잘 익혀두자.
https://www.youtube.com/watch?v=q7GV68jKLVM&list=PLQdnHjXZyYadiw5aV3p6DwUdXV2bZuhlN&index=21
위 강의를 보면서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반응형
'[Study]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틀린/Kotlin] 함수의 argument를 다루는 법과 infix 함수 (0) | 2022.05.09 |
---|---|
[코틀린/Kotlin] null처리 연산자와 동일성 확인 (0) | 2022.05.09 |
[코틀린/Kotlin] 데이터를 담는 리스트 (0) | 2022.05.09 |
[코틀린/Kotlin] 캐스팅을 줄여주는 제너릭 (0) | 2022.05.09 |
[코틀린/Kotlin] 클래스의 다형성 (as, is) (0) | 202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