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Git] 기본 명령어 정리 본문
반응형
init : 현재 디렉토리에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을 깃에게 알려주는 기능
.git : 버전 관리 시 여러 정보를 생성하는데, 그것들이 여기에 저장 됨 (삭제하면 아니되오)
git status : 저장소의 상태를 살펴보는 명령
Untracted files : 추저되지 않은 파일. 버전관리 시작하려는 명령 전 까지 무시
git add : ① 최초로 버전관리 시작하라는 명령 (추적 명령)
② 수정 후에 버전을 생성하는 명령
add를 해야 하는 이유?
→ commit 시기를 놓치면 버전이 거대해지기 때문
add를 통해 commit하고자 하는 파일만 commit 가능
stage : commit 대기 파일들이 가는 곳
repository : commit 된 결과가 저장되는 곳
git log : commit 역사 보기
git log -p : 각각 commit 사이의 소스 상의 차이를 볼 수 있음
git reset --hard "버전 id" : 해당 버전 id로 돌아가는 명령
git revert "버전 id" : 버전 id의 커밋을 취소한 내용을 새로운 버전으로 만드는 명령
반응형
'[Study]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장애 상태 확인하기 (0) | 2023.03.27 |
---|---|
[Git] HEAD detached at 해결 (0)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