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나선형 모델 본문
앞서 진화적 프로토타입 모델의 대표적인 예가 나선형 모델이라 했다.
최종 프로토타입을 버리지 않고, 이를 개발하여 최종 완성시키는 진화적 프로토타입 모델 절차를 따른다.
위험 분석단계가 추가된 것이 특징임.
계획 및 요구분석 ㅡ 위험 분석 ㅡ 프로토타입 개발 ㅡ 사용자 평가
이 과정을 n차 반복 동안 사용자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어 만족할만한 최종 제품이 만들어진다.
위험 요소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데 방해되는 모든 것을 말함
ex) 빈번하게 변경되는 요구사항, 팀원들 경험 부족, 결속력 떨어지는 팀워크, 플젝 관리 부재 등
프로토타입 모델과의 차별성 : 프로젝트 초기부터 실행 및 테스트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속적 확인 해야함
→ 개발 과정 초기에 잠재적 실패 요인과 위험요소를 찾고 관리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려 함
결국, 나선형모델은 폭포수 모델과 프로토타입 모델의 장점을 중심으로 위험분석단계를 추가하여 위험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방법을 강조한 반복적 개발 모델이다.
장점
- 위험 분석 단계가 존재하여, 사전에 위험을 의식하고 개발함으로서 갑작스러운 위험으로 프로젝트에 영향이 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 사용자 평가가 반영된 반복적 개발 방식에 의해 사용자 요구가 충분히 반영된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져 최종 제품 만들어졌을 때에도 사용자의 불만이 적을 것
- 이처럼 소프트웨어 개발 중에 일어나는 변경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는 모델
단점
- 요구분석, 위험분석, 개발, 사용자 평가가 반복적으로 계속 진행되어 프로젝트 기간이 길어질 수 있고, 반복횟수가 많아질수록 프로젝트 관리가 어렵다.
- 위험 관리가 중요하여 위험 관리 전문가 필요
'[Study] > 소프트웨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상화, 모듈화 (0) | 2019.08.16 |
---|---|
애자일방법론과 폭포수모델 비교 (0) | 2019.08.16 |
프로토타입 모델 (Prototype model) (0) | 2019.08.13 |
V 모델 (0) | 2019.08.13 |
폭포수 모델 (Water fall model) (0) | 2019.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