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tudy]/소프트웨어공학 (6)
기록
추상화 : 주어진 문제에서 현재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특정한 목적과 관련된 필수 정보만 추출하여 강조하고 관련이 없는 세부 사항을 생략함으로써 본질적인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객체지향에서는 객체들의 공통점을 뽑아 클래스라는 이름을 붙여놓은 것이 추상화이다. 반대로,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인스턴스화라고 한다. 모듈화 : 선행 작업을 실제로 개발할 수 있는 작은 단위로 나누는 것 모듈 : 하나 또는 몇 개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집합. 따라서 독립프로그램들도 하나의 모듈이 될 수 있고, 함수들도 하나의 모듈이 될 수 있다. - 다른 것들과 구별될 수 있는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단위 - 유일한 이름 - 독립적 컴파일 가능 - 모듈에서 또 다른 모듈 호출 ..
애자일 : 처음 수집한 요구사항을 전체의 일부로 인정하고 시작하여 언제든지 추가요구사항이 있을 것으로 간주함. 따라서 추가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설계 폭포수 : 요구사항분석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 설계 단계로 넘어가므로, 새로운 요구사항을 추가하기가 어렵다. 추가 요구사항 반영이 어려운 구조 애자일 : 가능하면 자주, 빨리 제품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이를 반복하여 최종제품 만들기에 자주 릴리즈된다. 폭포수 :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 설계, 구현과정이 끝나고 최종 완성된 제품을 릴리즈한다. 애자일 : 시작 단계에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점차 완성도가 높아진다. 폭포수 : 단계별 완성도를 최대한 높여 다음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시작 단계에서의 완성도가 매우 높다. 애자일 :..
앞서 진화적 프로토타입 모델의 대표적인 예가 나선형 모델이라 했다. 최종 프로토타입을 버리지 않고, 이를 개발하여 최종 완성시키는 진화적 프로토타입 모델 절차를 따른다. 위험 분석단계가 추가된 것이 특징임. 계획 및 요구분석 ㅡ 위험 분석 ㅡ 프로토타입 개발 ㅡ 사용자 평가 이 과정을 n차 반복 동안 사용자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어 만족할만한 최종 제품이 만들어진다. 위험 요소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데 방해되는 모든 것을 말함 ex) 빈번하게 변경되는 요구사항, 팀원들 경험 부족, 결속력 떨어지는 팀워크, 플젝 관리 부재 등 프로토타입 모델과의 차별성 : 프로젝트 초기부터 실행 및 테스트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속적 확인 해야함 → 개발 과정 초기에 잠재적 실패 요인과 위험요..
선형 순차적 모델의 대표적인 방법이 폭포수 모델이였다면, 진화적 프로세스의 대표적인 방법은 프로토타입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폭포수 모델의 큰 단점인 "단계를 거슬러 작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진화적 프로세스 모델이다. 프로토타입의 사전적 의미는 대량 생산에 앞서 미리 제작해보는 시제품으로, 제작물의 모형이라 할 수 있다. 모델을 만드는 것을 모델링이라 하듯,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을 프로토타이핑이라 한다. 계획 → 요구사항 정의 및 분석 [요구 수정 > 빠른 설계 > 프로토타입 개발 > 고객 평가 > 조정 > 구현]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이처럼 폭포수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면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추가한 모델이다. 이..
V모델은 폭포수 모델의 변형으로, 테스트 단계를 추가 확장하여 테스트 단계가 분석 및 설계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나타낸다. 폭포수 모델이 산출물 중심이라면 V모델은 각 개발단계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두므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단위 테스트 (unit test) 목표 : 개별 모듈 검증 내용 : 단위테스트는 모듈테스트라고 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이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는지 판별한다. 통합 테스트 (integration test) 목표 :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확인 내용 : 단위테스트를 마친 각 모듈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는다. 모듈 사이의 상호작용이 적절하게 수행되는지, 모듈이 올바르게 연계되어 동작하고 있ㄴ느지를 확인한다. 시스템 테스트 (system test) 목표 ..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 = 선형 순차적 모델 (linear sequential model) 폭포수 모델의 개발 절차 폭포수 모델에서는 폭포의 물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듯이 계획,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의 각 단계가 하향식(top-down)으로 진행되며, 병행되거나 거슬러 반복되지 않는다. 이 모델에서는 요구사항분석단계가 끝나면 '요구 분석 명세서'라는 문서가 산출된다. 이 명세서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이상 유무를 확인받고 다음 단계인 설계 절차로 넘어간다. 이렇게 각 단계의 산출물에 대해 확인 절차를 거침으로써 서로 간의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계획(planning) 단계 문제를 정의한 후 프로젝트 영역을 결정 작업 분할 구조도(WBS: Work Breakd..